자신의 필살기를 3c 4p로 적용해보기 (이공계)
소개
취업준비를 하는데, 유투버 '면접왕 이형'의 영상이 도움이 많이 되어서 보고 있다.
면접왕 이형은 자신의 필살기를 3C 4P에 맞게 녹여내도록 조언을 한다.
필살기와 3C 4P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면접왕 이형
대한민국 청년들의 취업/창업을 함께하는 Alivecommunity 입니다! 단순 강의가 아니라 스스로 사고하며 생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함께합니다. * 제휴 문의 official@alivecommunity.co.kr (본 메일로 취업
www.youtube.com
필살기
직무와 유사한 경험들 중에서 성공했던 경험,
또, 그 성공경험들 중에서 인사이트를 얻었던 경험
그 경험이 필살기이다.
아래는 그림으로 쉽게 도식화를 해보았다.
유사경험
1) 산업 군의 고객을 만나봤거나 or
2) 현직자를 만나봤거나 or
3) 프로젝트를 해본 경험
성공경험
1) before와 after가 명확한 것 or
2) 수치의 변화가 있는 것 or
3) 무에서 유에서 창조한 것 or
4) 입상/수상 경험
인사이트
1) 성공원리(비결) or
2) 실패의 교훈
나같은 경우는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했던 '자재 배치 시뮬레이션'과 캡스톤 디자인에서의 '3D 프린팅 공정 최적화' 프로젝트가 필살기이다.
자재 배치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생산량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자재(진열대)의 개수와 배치를 제안해보았고, 3D 프린팅 공정 최적화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강화학습을 통해 공정 스케쥴링을 진행해보았다.
필살기에서 탈락한 소재들로는 인간공학 연구실에서 한 '전동킥보드의 인간공학적 설계' 연구와 창업동아리에서 한 '모션인식 키오스크'가 있다.
이 소재들은 내용은 괜찮은데, 직무와 연관성이 조금 떨어져서 필살기가 아닌 다른 문항에 작성을 하고 있다.
(필살기 편 - 취업필살기 구조도 총정리! 면접과 자소서는 병렬이야! (믿고 따라오라니까~) - YouTube )
3C 4P
3C 4P는 보통 마케팅에서 분석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형식을 바탕으로 자소서를 작성하면,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
다만, 인문계는 프로젝트는 형식에 맞게 적용이 잘 되는데, 이공계는 어색한 부분이 있다.
그래서 이공계 위주로 정리를 해보았다.
● 3C (Customer/Company/Competitor)
- Customer(고객) : 혜택을 받는 대상, 대상이 필요로 한 것
① 연구과제나 프로젝트 결과가 어떤 대회에서 심사를 받거나 교수님, 혹은 평가자에 의해 평가를 받는 경우?
프로젝트 혹은 연구를 평가하는 평가자가 고객이다.
② 기업 혹은 특정 기관의 의뢰를 받은 프로젝트 팀의 팀원, 혹은 연구실의 연구원으로 역할을 한 경우?
프로젝트 혹은 연구를 의뢰한 기업 혹은 기관이 고객이다.
③ 공정과정, 프로젝트 진행중의 문제를 분석해서 해결한 경우?
문제 해결을 통해 혜택을 받는 상사(교수님), 팀원, 타 부서 등이 고객이다.
- Company(자사) : 내가 속했던 곳, 본인(팀)의 목표, 본인(팀)의 문제 혹은 기회 상황, 팀 내에서 나의 역할
본인의 필살기가 기업에서의 경험이 아니라, 학교에서의 프로젝트라면 속했던 곳은 00수업 프로젝트 팀이라고 하면 된다.
목표나 문제상황 등도 다 프로젝트 팀에서의 관점으로 작성하면 된다.
- Competitor(경쟁사) : 조사한 대상, 조사 후 적용한 내용
조사한 대상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고한 논문자료나 실험기법 등을 작성하면 된다.
● 4P(Product/Place/Price/Promotion)
- Product(상품) : 결과, 결과의 의미
프로젝트로 이뤄낸 결과를 적으면 되고, 보통 이것을 소제목으로 많이 작성한다.
(How + result 형식으로 소제목 적기)
- Place(위치) : 문제의 해결점 발견, 위치와 채널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 시도했는지를 작성한다.
- Price(가격) : 생산성 향상, 시간단축, 비용감소 등
생산성 향상이나 비용 절감을 시킨 점 같이 더 나아지기 위한 시도를 적으면 된다.
- Promotion(마케팅) : 알리기 관점, 고객 니즈 반영
완성된 결과물을 어디에 배포를 했다던가, 논문 기재를 했다던가 등의 활동을 작성하면 된다.
자소서 작성해보기
위의 3c4p 형식에 맞춰서, 예시로 나의 경험을 넣어보았다.
● 자재배치 시뮬레이션
WHAT (결과물) (How + Result) |
소제목 (product) |
[최적의 자재 레이아웃을 도출하여, 집품 작업 생산성 16% 향상] |
WHY (배경) |
고객 (Customer) |
1) 혜택을 받는 대상 물류센터 기업 (쿠팡) 2) 대상이 필요로 한 것 작업자간 동선 충돌 문제를 해결하여, 생산량을 높이는 것 |
컴퍼니 (Company) |
1) 내가 속했던 곳 시뮬레이션 팀프로젝트 6조 2) 본인(팀)의 목표 자재(진열대) 재배치를 통해 동선 충돌 문제를 해결하고, 전체적인 작업 생산량 향상 3) 본인(팀)의 문제 혹은 기회 상황 자재(진열대)간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작업자 간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생산량 저하로 이어짐 4) 팀 내에서 나의 역할 자재 배치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상환경 구성 |
|
경쟁사 (Competitor) |
1) 조사한 대상 (ex. 분석한 경쟁사, 참고한 운영방식, 논문자료, 박람회 등) 1. Agent based 시뮬레이션 기법 2. python mesa 라이브러리 2) 조사 후 적용한 내용 (ex. 경쟁사의 현황, 기존의 매뉴얼의 문제점, 발견한 인사이트 등) 1. Agent based 기법은 다수 행위자들이 개별적으로 행동하고, 서로 상호작용도 하기 때문에 우리 주제에 적용하기 적합 2. python mesa 라이브러리를 참고하여, 격자 형태의 2차원 맵과 agent가 상하좌우 한 칸 씩 움직이도록 구현 |
|
HOW (방법) |
위치 (Place) |
1) 문제의 해결점 발견/시도 (ex. 이공계 : 논문 분석을 통해 해결점을 찾아나간 프로세스, 특정 TOOL을 이용해 문제를 분석해 나간 프로세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를 참고한 방식, 공부한 구체적인 시간, 양, 방법 등) 1. python mesa 라이브러리로 가상환경 구현 (격자형태의 물류센터, 6명의 작업자, 진열대, 컨베이어 벨트 등 ) 2. 작업자의 움직임과 작업에 대한 규칙들을 알고리즘화 함 3. 시뮬레이션 시작 2) 위치와 채널 (ex. 이공계 : 00TOOL의 어떠한 특성을 활용하여 연구, 00공정의 어떠한 특성 때문에 발생한 문제를 극복 등) 1. 자재가 10개씩 6세트가 두 줄로 배치되어 있는데, 안쪽과 바깥쪽을 번갈아 줄여가며 어떤 배치가 생산성이 높은지 비교 2. 자재(진열대)가 줄어들 수록 동선 충돌은 없지만 작업할 물건의 양의 줄어들어 트레이드 오프가 발생하기 때문에, 자재의 수를 달리해가며 최적의 개수를 찾으려 노력 (3. 무한 교착 상태가 발생, 간단한 룰을 추가하여 해결) |
가격 (price) |
1) 생산성 향상, 시간단축, 비용감소 등 (ex. 이공계 : 3D프린팅을 통해 설계, 00이라는 핵심문제를 개선, 00 아이디어를 적용 등) 자재(진열대)를 8~60개 사이로 실험했더니, 28개일 경우에 가장 생산량이 높았다. |
|
마케팅 (Promotion) |
1) 알리기 관점 (ex. 이공계 : 매뉴얼 작성, 교육, 발표, 커뮤니케이션 등) 실험 과정 발표를 통해 A+ 학점을 취득 |
● 3D 프린팅 공정 스케쥴링
WHAT (결과물) (How + Result) |
소제목 (product) |
[강화학습을 통해 3D 프린팅 작업 총 소요시간 7.3% 단축] |
WHY (배경) |
고객 (Customer) |
1) 혜택을 받는 대상 3D 프린팅 공정 2) 대상이 필요로 한 것 3D 프린팅 공정 스케쥴링 |
컴퍼니 (Company) |
1) 내가 속했던 곳 캡스톤 디자인 팀프로젝트 9조 2) 본인(팀)의 목표 총 작업 소요시간(makespan) 단축하도록 공정 스케쥴링 3) 본인(팀)의 문제 혹은 기회 상황 3D 프린터는 출력품을 변경하려면, 셋업타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3D 프린팅 산업 특성상 다품종 소량생산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셋업타임 시간을 최소화 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4) 팀 내에서 나의 역할 강화학습 구현 및 시각화 작업 |
|
경쟁사 (Competitor) |
1) 조사한 대상 (ex. 분석한 경쟁사, 참고한 운영방식, 논문자료, 박람회 등) 1. 3D 프린터 기반 스마트 팩토리 조사 2. 선행 논문 참고 2) 조사 후 적용한 내용 (ex. 경쟁사의 현황, 기존의 매뉴얼의 문제점, 발견한 인사이트 등) 1. 혼합정수계획법(MIP)모델 수립 2. 3600초 안에 MIP를 통해 구할 수 있는 최적해는 최대 설비와 작업이 각각 2~4대, 10개 정도라는 것을 확인 3. NP-hard이기 때문에 위 수리 모델을 통한 문제 해결은 사실상 어렵다는 것을 직접 실험을 통해 검증 4. 강화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결정 |
|
HOW (방법) |
위치 (Place) |
1) 문제의 해결점 발견/시도 (ex. 이공계 : 논문 분석을 통해 해결점을 찾아나간 프로세스, 특정 TOOL을 이용해 문제를 분석해 나간 프로세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를 참고한 방식, 공부한 구체적인 시간, 양, 방법 등) 1. 문제정의 : 총 m대의 3D 프린터에 n개의 작업을 스케줄링하여, 최대한 빨리 모든 작업이 완료될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강화학습 적용 2) 위치와 채널 (ex. 이공계 : 00TOOL의 어떠한 특성을 활용하여 연구, 00공정의 어떠한 특성 때문에 발생한 문제를 극복 등) 프린터가 작업을 마치면 Agent가 다음으로 수행할 작업을 선택(Action)하고, 보상으로는 상태전이시간사이의 시스템 Utilization을 받도록 하였다 |
가격 (price) |
1) 생산성 향상, 시간단축, 비용감소 등 (ex. 이공계 : 3D프린팅을 통해 설계, 00이라는 핵심문제를 개선, 00 아이디어를 적용 등) 총 45번의 실험 중 33개 인스턴스(약 70% 이상)에서 강화학습의 결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는 Makespan이 최솟값과 약 3% 정도 차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
마케팅 (Promotion) |
1) 알리기 관점 (ex. 이공계 : 매뉴얼 작성, 교육, 발표, 커뮤니케이션 등) Unity를 활용한 가상의 시뮬레이터, 간트 차트 등 솔루션을 시각화하고, GUI를 구현하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였다 |